맨위로가기

The Idio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Idiot은 1977년 3월 18일에 발매된 이기 팝의 솔로 데뷔 앨범이다. 데이비드 보위가 프로듀싱하고 공동 작곡에 참여했으며, 아트 록, 고딕 록, 인더스트리얼 록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였다. 앨범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에서 영감을 받아 제목이 정해졌으며, 사랑, 고독, 소외, 죽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포스트 펑크, 인더스트리얼 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기 팝의 음반 - Après
    Après는 이기 팝이 2012년에 발표한 앨범으로, 프랑스어 커버곡들을 담고 있으며 감미로운 보컬과 세련됨으로 평가받고 밥 딜런이 좋게 평가했으며 독일 차트에서 61위를 기록했다.
  • 이기 팝의 음반 - Post Pop Depression
    이기 팝이 조시 옴므와 협업하여 작사, 작곡하고 딘 페르티타와 맷 헬더스가 연주에 참여한 스튜디오 앨범 Post Pop Depression은 2016년 발매 후 평론가들의 호평과 함께 여러 국가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그래미상 후보에도 올랐다.
  • 1977년 데뷔 음반 - Motörhead (음반)
    Motörhead는 1977년 발매된 밴드 Motörhead의 데뷔 앨범으로, 밴드의 상징인 스내글투스가 처음 등장하며, 펑크 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 1977년 데뷔 음반 - My Aim Is True
    엘비스 코스텔로의 데뷔 앨범인 My Aim Is True는 닉 로위의 프로듀싱 아래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으며, 클로버 밴드 멤버들이 참여하여 펑크 록, 펍 록, 뉴 웨이브 등의 영향을 받아 복수와 죄책감 같은 어두운 주제를 다룬 음악과 가사로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그의 대표작이 되었다.
  • RCA 레코드 음반 - The New Abnormal
    The New Abnormal은 스트록스가 2020년에 발매하고 릭 루빈이 프로듀싱한 여섯 번째 정규 앨범으로, 장미셸 바스키아의 그림을 커버 아트로 사용했으며 인디 록, 뉴 웨이브,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평론가들의 호평과 함께 그래미상 최우수 록 앨범을 수상했다.
  • RCA 레코드 음반 - Hurts 2B Human
    핑크의 2019년 앨범 《Hurts 2B Human》은 팝, 댄스, 컨트리 음악 요소를 결합하고 여러 음악가가 참여하여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하며 상업적 성공과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The Idiot
음반 정보
중간 나이의 남자가 뻣뻣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흑백 사진
음반 커버
음반 종류스튜디오
아티스트Iggy Pop
발매일1977년 3월 18일
녹음 기간1976년 6월 ~ 8월
녹음 장소에루빌 성 (에루빌-앙-베크생)
뮤직랜드 스튜디오 (뮌헨)
한자 스튜디오 1, 베를린
장르아트 록
포스트 펑크
고딕 록
인더스트리얼 록
길이38분 49초
레이블RCA Victor
프로듀서데이비드 보위
다음 음반Lust for Life
다음 음반 발매 연도1977년
싱글
싱글 1Sister Midnight
싱글 1 발매일1977년 2월
싱글 2China Girl
싱글 2 발매일1977년 5월
차트 성적
영국 앨범 차트30위
Billboard 20072위
추가 정보
영감제목은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백치(The Idiot)"에서 영감을 얻어 붙여졌다.
관련 인물레코딩에 참여했던 이기 팝, 데이비드 보위, 토니 비스콘티 3명 모두 이 소설에 정통했다.
트랙 정보
관련 곡나이트클러빙
펀 타임

2. 배경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이기 팝은 프로토펑크 밴드 스투지스의 프런트맨으로 활동하며 무대 위에서의 거친 행동으로 명성을 얻었고, 이는 열광적인 팬층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밴드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팝을 포함한 멤버 대부분이 마약 중독 문제에 시달렸다.[69][70][1][2]

1971년, 팝은 음악가 데이비드 보위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보위는 1973년 발매된 스투지스의 3집 앨범 ''Raw Power''의 오디오 믹싱 작업을 도왔다. 하지만 앨범 발매 이후 밴드는 내부 갈등, 레이블 지원 부족, 팝의 약물 중독 심화 등으로 인해 1974년 해체되었고, 팝과 보위의 협업도 잠시 중단되었다.[71] 해체 직후 팝은 스투지스 멤버였던 제임스 윌리엄슨과 함께 곡들을 녹음했으나, 이 결과물은 1977년에야 ''Kill City''라는 제목으로 팝과 윌리엄슨 공동 명의로 발매되었다.[71][3]

솔로 가수로서 자리를 잡으려던 팝은 도어스키스 같은 밴드의 오디션을 보기도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헤로인 중독이 심각해지자, 팝은 스스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신경정신병학 연구소에 입원하여 재활 치료를 받았다. 이 시기 보위는 팝을 찾아온 몇 안 되는 방문객 중 한 명이었다. 팝은 훗날 "아무도 오지 않았다... LA에서 친구라고 부르던 사람들조차 오지 않았다. 하지만 데이비드는 찾아왔다"고 회상했다.[71] 1975년 중반, 팝과 보위는 다시 만나 몇 곡을 녹음하려 시도했지만, 두 사람 모두 약물 중독 상태가 심각하여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보위는 당시 상황에 대해 "그는 결코 제시간에 녹음실에 오지 않았다. 이기는 무너져 갔다"고 말했다.

1974년과 1976년의 재활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팝은 1976년에 인생의 최저점을 맞이했다고 평가된다. 상황을 타개해야 함을 느낀 팝은 보위의 제안을 받아들여 1976년 Isolar Tour에 동행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보위 역시 약물 중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 투어 기간 동안 팝은 보위의 철저한 직업 정신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훗날 자기 계발과 관련된 많은 것을 보위에게서 배웠다고 언급했다. 이 시기, 팝이 보위의 프로듀싱 아래 솔로 앨범을 녹음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었다. 보위와 기타리스트 카를로스 알로마는 'Sister Midnight'이라는 곡을 함께 만들어 팝에게 제안했고, 보위는 투어 중 이 곡을 라이브로 선보이기도 했다.

투어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보위와 팝은 로스앤젤레스의 마약 문화에서 벗어나 유럽으로 거처를 옮기기로 결정했다. 처음 보위는 독일 뮌헨에서 'Sister Midnight'를 싱글로 제작할 계획이었으나, 프랑스 에루빌에 위치한 샤토 데루빌(보위가 1973년 앨범 ''Pin Ups''를 녹음했던 곳)을 방문한 후, 그곳에서 팝의 정규 앨범 전체를 제작하기로 마음을 바꾸었다. 보위는 1976년 늦여름, 샤토 데루빌에서의 작업을 위해 두 달간 스튜디오를 예약했다.

3. 제작

데이비드 보위이기 팝의 재활을 돕고, 자신의 1976년 Isolar Tour에 동행시켰다. 투어가 끝난 후, 두 사람은 로스앤젤레스의 마약 문화를 피해 유럽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37] 보위는 처음에 뮌헨에서 'Sister Midnight'라는 곡을 싱글로 제작하려 했으나, 이전에 자신의 앨범 ''Pin Ups''를 녹음했던 프랑스 에루빌-엉-베르생에 있는 Château d'Hérouville|샤토 데루비유프랑스어를 방문한 후, 이곳에서 팝의 앨범 전체를 제작하기로 마음먹었다. 보위는 1976년 여름 후반 작업을 위해 샤토 데루비유의 스튜디오를 두 달간 예약했다.

보위와 팝은 1976년 6월 앨범 녹음을 위해 Château d'Hérouville|샤토 데루비유프랑스어에 도착했다. 보위는 스튜디오의 새로운 소유주이자 프랑스 밴드 마그마의 전 베이시스트였던 Laurent Thibault|로랑 티보프랑스어와 친분을 쌓고, 그에게 베이스 연주 및 엔지니어 역할을 요청했다. 티보는 프랑스인 드러머 Michel Santangeli|미셸 상탕겔리프랑스어를 고용했다. 보위는 키보드와 기타를 사용하여 앨범에 수록될 곡들을 작곡하기 시작했고, 상탕겔리가 도착하자 그에게 볼드윈 전기 피아노로 곡들을 연주해주었다. 상탕겔리는 이틀 동안 최소한의 지시만 받고 거친 트랙(그는 이것이 데모라고 생각했다)에 맞춰 연주했는데, 첫 번째 테이크 중 일부는 최종 믹스에 포함되기도 했다.[37] 하지만 보위는 이틀째가 끝날 무렵 상탕겔리를 해고했고, 그의 연주가 부적절하다고 믿게 만들었다. 상탕겔리는 자신이 앨범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생각했으나, 나중에 최종 드럼 사운드에 대해 후회를 표했다. 이후 보위는 기타, 전기 피아노, 신시사이저, 색소폰을 연주하고 백 보컬을 맡았다.

백킹 트랙이 기타, 키보드, 드럼으로 구성된 후, 보위는 티보에게 거의 지시를 주지 않고 베이스 파트를 추가하도록 했다. 1976년 7월, 보위는 자신의 리듬 섹션인 베이시스트 조지 머레이와 드러머 데니스 데이비스를 데려와 'Sister Midnight'와 'Mass Production'을 포함한 일부 트랙의 오버더빙 작업을 진행했다.[37] 보위가 앨범의 음악 대부분을 작곡했지만, 팝은 스튜디오 바닥에서 가사의 대부분을 썼고, 종종 보위가 작곡하는 음악에 대한 반응으로 썼다. 팝은 또한 마이크 옆에 서서 가사를 즉흥적으로 하는 것을 좋아했고, 이는 보위를 매료시켰으며, 보위는 나중에 ''"Heroes"'' (1977)를 녹음할 때 이 방법을 사용했다.

녹음은 1976년 8월, 보위의 미래 협력자인 전자 댄스 음악 프로듀서 조르지오 모로더가 소유한 뮌헨의 Musicland Studios|뮤직랜드 스튜디오영어에서 계속되었다. 여기서 팝은 대부분의 보컬을 녹음했고, 산탄젤리와 티보처럼 보위의 기타 파트 중 일부를 지시 없이 다시 녹음한 기타리스트 Phil Palmer|필 파머영어가 추가 기타 오버더빙을 제공했다. 파머는 팝과 보위와의 창의적인 협업을 "뱀파이어적"이라고 묘사했는데, 그가 낮 동안에는 아티스트들을 본 적이 없고 협업이 자극적이었지만 불안했기 때문이다.[37]

녹음이 완료되었을 때, 보위와 팝은 앨범을 믹싱하기 위해 베를린으로 가서 한사 스튜디오 1에서 믹싱했다(흔히 잘못 알려진 것과 달리, 베를린 장벽 근처에 있는 더 큰 스튜디오 2가 아님).[37] 이미 보위의 다음 앨범을 공동 프로듀싱할 예정이었던 그의 전 프로듀서 토니 비스콘티에게, 보위는 레코드를 믹싱하는 것을 돕도록 요청하여 보위의 새로운 작업 방식을 익히게 했다. 테이프의 거의 데모 수준을 고려할 때, 비스콘티의 말에 따르면 포스트 프로덕션 작업은 "창의적인 믹싱이라기보다는 구조 작업"이었다.[39]

4. 음악 스타일

''The Idiot''은 이기 팝이 활동했던 밴드 더 스투지스의 공격적인 프로토펑크 사운드에서 크게 벗어난 작품이다.[15] 이 앨범은 "조각난 기타 연주, 불길한 베이스 라인, 불협화음의 고부조 키보드 파트"와 같은 요소와 함께 이기 팝의 "세상에 지친 바리톤" 보컬이 특징인, 보다 차분하고 내성적인 사운드를 들려준다.[15] 발매 당시 이기 팝은 이 앨범을 "제임스 브라운크라프트베르크의 교차점"이라고 묘사했다.[4]

음악적으로 이 앨범은 주로 아트 록으로 분류되지만,[5] 고딕 록,[9] 인더스트리얼 록의 요소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스투지스가 만들어낸 펑크 사운드와는 "완전히 동떨어져" 있으면서[6] 포스트펑크 장르를 개척한[7]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크라프트베르크 등 독일 뮤지션들의 전자 음악을 받아들여 이전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을 확립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도 있다.[43][44]

데이비드 보위와의 관계 속에서 음악적 스타일이 논의되기도 한다. 이 앨범은 보위가 이후 발표하는 "베를린 삼부작"의 첫 작품인 ''Low''보다 앞서 거의 동일한 멤버, 스태프,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The Idiot''은 보위의 베를린 시대의 비공식적인 시작"으로 불리기도 한다.[42] 1981년, ''NME''의 편집자 로이 카와 찰스 샤 머레이는 ''The Idiot''의 전자 사운드가 보위의 ''Low''에서 개척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43] 2000년 니콜라스 페그는 이 앨범을 보위의 ''Station to Station''과 ''Low'' 사이의 "디딤돌"이라고 평가했다.[40] 평론가 사이먼 레이놀즈는 앨범의 "기계적인 그루브, 부서지기 쉬운 드럼, 거친 기타 질감"이 보위의 베를린 삼부작을 예고했으며, 보위가 Neu!나 Cluster 같은 독일 밴드에서 영감을 받은 전자 사운드를 탐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분석했다.[7]

평론가들은 앨범의 독특한 분위기를 다양하게 묘사했다. ''서커스''의 웨슬리 스트릭은 보위의 "Fame"과 유사하지만 "빠른 맥박으로 조정된 리듬"을 가진 "기계화된" 음악이라고 평했고,[22] ''Creem''의 리처드 리겔은 "가끔 독일 전자 음악 톤을 가진 전문 스튜디오 메탈"이라고 불렀다.[23] ''NME''의 닉 켄트는 "지극히 불건전한 악과 황혼의 좀비 타임 불안의 냄새에 완전히 얽매이고 속박된" 음악이라고 묘사했으며,[8] 보위의 전기 작가 데이비드 버클리는 ''The Idiot''을 "펑키하고 로봇 같은 느낌이 드는 기분 나쁜 음반"[39] 또는 "펑키하고 무기질적인 지옥"이라고 평했다.

5. 주제와 가사

앨범 커버는 앤디 켄트가 촬영했으며, 에리히 헤켈의 그림 '로케롤(Roquairol)'에서 영향을 받았다.[39][40] 이 앨범은 이기 팝데이비드 보위와 협력하여 음악적 방향을 크게 전환한 작품으로, 이전 더 스투지스 시절의 하드 록 스타일에서 벗어나 크라프트베르크와 같은 독일 전자 음악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스타일을 구축했다.[43][44] 이기 팝 자신은 이 앨범의 음악 스타일을 "제임스 브라운과 크라프트베르크의 만남"이라고 표현했으며[45], 앨범 전체의 주제를 "자유"라고 언급했다.[46] 데이비드 보위의 전기 작가 데이비드 버클리는 이 앨범을 "펑키하고, 로봇 같으며 지옥 같은" 앨범이라고 묘사했다.[39] 이 앨범은 보위의 "베를린 삼부작" 중 첫 작품인 ''Low''보다 먼저 거의 동일한 멤버, 스태프,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어, "보위의 베를린 시대의 비공식적인 시작"으로 평가받기도 한다.[42]

"Sister Midnight"는 보위의 곡 "Fame"이나 "Stay"와 유사한 펑크 스타일을 가지며, 보위의 베를린 시대 이전 스타일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곡으로 평가된다.[9] 명확한 전자 악기 사용은 두드러지지 않지만, 비평가 데이브 톰슨은 "분명히 미래적인 분위기"라고 묘사했다.[9] 보위가 투어 중 첫 구절 가사를 썼고, 팝이 스튜디오에서 완성했다.[22] 팝의 보컬은 도어즈의 짐 모리슨에 비유되기도 했다.[22][23] 작가 피터 도겟은 가사 속 '시스터 미드나잇'의 정체는 중요하지 않으며, 그녀는 팝을 달로 보내거나 지구로 떨어뜨릴 수 있는 단순한 암호일 뿐이라고 해석했다.[23] 이 곡은 1979년 보위가 가사를 수정하여 "Red Money"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앨범 ''Lodger''에 수록했다.

"Nightclubbing"은 크라우트록의 영향을 보여주며, 보위가 ''Low'' 앨범에서 더욱 탐구하게 될 사운드의 예고편으로 간주된다.[9][22] 리프는 게리 글리터의 "Rock and Roll"을 장난스럽게 해석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3] 크리스 니즈는 이 곡을 "유령 같은 전자음이 불안하고 왜곡된 디스코 비트 위로 문구를 새기는, 1985년 디스코의 음울한 소리"라고 표현했다.[26] 팝은 이 곡이 "그(보위)와 매일 밤 어울리는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나의 코멘트"이며, "그런 밤샘 후에 찾아오는 믿을 수 없는 차가움과 죽음 같은 느낌, 그리고 그것을 얼마나 즐기는지에 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28] 이 곡은 팝과 보위 단둘이 스튜디오에 남았을 때 만들어졌는데, 보위가 피아노를 연주하고 오래된 리듬 머신을 사용해 녹음되었다. 보위는 드럼 재녹음을 원했지만 팝의 주장으로 초기 버전이 그대로 사용되었다.[37]

원래 "Fun Fun Fun"이라는 제목이었던 "Funtime"은 휴고 윌켄에 의해 "원시적인 고딕 스타일"로 묘사되었다.[28] 페그는 기타와 드럼 사운드가 노이!와 같은 독일 밴드에 대한 보위의 관심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8] 일부 비평가들은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타일에 비유하기도 했다.[26][28] 보위는 팝에게 "메이 웨스트처럼, 돈을 벌고 싶어하는 여자처럼" 노래하라고 조언했다.[28] 가사는 "드라큘라와 그의 일행" 같은 구절을 통해 보위와 팝이 로스앤젤레스에서 보낸 마지막 날들을 연상시킨다. 보위의 백 보컬은 팝의 리드 보컬만큼이나 두드러지게 믹싱되었다.[28] 팝은 1977년에 이 곡을 자신의 "러브송"이라고 불렀다.[28]

"Baby"는 드럼보다는 베이스와 신디사이저가 주도하는 곡이다. 시브룩은 이 곡이 독일의 영향을 받았지만, 크라우트록보다는 카바레 스타일에 더 가깝다고 보았다.[28] 가사는 곧 실패할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며, 팝은 듣는 이에게 "깨끗하게, 젊게 지내고 울지 마라, 그는 이미 모든 것을 다 했다"고 경고한다.[28]

원래 "Borderline"이라는 제목이었던 "China Girl"은 앨범에서 가장 경쾌한 트랙으로 꼽힌다.[28] 왜곡된 기타와 신디사이저가 주를 이룬다.[28] 프로덕션은 보위가 1983년에 리메이크한 버전에 비해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느낌을 준다.[40] 이 곡은 당시 같은 스튜디오에서 녹음 중이던 프랑스 배우 겸 가수 자크 이즐랭의 파트너였던 베트남계 여성 쿠엘란 응우옌(Kuelan Nguyen)에게 영감을 받은 짝사랑 노래이다. 가사의 "Shhh..." 부분은 팝이 어느 날 밤 응우옌에게 자신의 감정을 고백했을 때 그녀가 실제로 했던 반응을 인용한 것이다.[37] 팝은 스튜디오 마이크 앞에서 대부분의 가사를 즉흥적으로 만들었다.[28] 이 곡은 1983년 보위가 리메이크하여 싱글로 발매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Dum Dum Boys"는 팝의 설명에 따르면, 그가 곡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을 때 보위가 "그걸로 노래를 만들 수 없을까? 스투지스 이야기를 해보는 게 어때?"라고 제안하며 콘셉트와 제목을 주었다고 한다.[40] 원래 제목은 "Dum Dum Days"였다.[28] 이 곡은 팝의 이전 밴드 더 스투지스의 멤버들에 대한 헌정곡이자 애가로, 도입부의 구술 파트에서는 지크 제트너, 데이브 알렉산더, 스콧 애쉬턴, 그리고 제임스 윌리엄슨이 언급된다.[37] 올리어리는 이 곡을 팝 버전의 "Ziggy Stardust"로 간주했다.[28] 음악적으로 시브룩은 스투지스의 ''Fun House''(1970) 앨범과 비교했다. 보위가 원래 모든 기타 파트를 연주했으나 만족스럽지 않아 필 팔머(Phil Palmer)에게 일부 파트를 오버더빙하도록 했다.[28]

"Tiny Girls"는 앨범에서 가장 긴 두 곡 사이에 위치하며,[28] 1950년대 두왑 스타일을 연상시킨다.[28] 가사에서 팝은 "과거"도 "요령"도 없는 "작은 소녀"를 얻는 이상을 노래한다. 페그와 시브룩 모두 이 곡에서 보위의 색소폰 연주를 그의 최고 중 하나로 평가했다.[28][40]

마지막 트랙 "Mass Production"은 8분 길이의 대곡이다.[28] 시브룩은 이 곡을 스투지스의 "Dirt"나 보위의 "Station to Station"과 비교했다.[28] 윌켄은 초기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니카의 거칠고 갈리는 사운드로 묘사했다.[28] 곡은 로랑 티보(Laurent Thibault)가 테이프 루프를 이용해 만든 1분 길이의 "원시 인더스트리얼 노이즈"로 시작한다.[28] 가사는 보위의 제안으로 쓰였는데, 팝은 "그(보위)가 '대량 생산에 대한 노래를 써줬으면 해'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나는 그에게 내가 자란 곳의 썩어가는 미국 산업 문화의 아름다움을 얼마나 숭배하는지에 대해 항상 이야기했기 때문이다"라고 회상했다.[40]

6. 발매 및 평가

RCA 레코드를 통해 1977년 3월 18일에 발매되었다.[15]

“The Idiot”의 1977년 차트 성과
차트 (1977)최고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켄트 뮤직 리포트)88
영국 음반 (OCC)30
미국 빌보드 톱 LP & 테이프[36]72



차트 성적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최고 72위[61], 영국 음반 차트에서 30위를 기록하며 이기 팝의 경력 최초로 미국 차트 100위 안에 진입하는 등 상업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거두었다. 영국에서는 이 앨범의 영향으로 이 기 & 더 스투지스 시절의 앨범 ''Raw Power''가 다시 차트에 오르기도 했다.[62]

앨범 발매 전후로 싱글 "Sister Midnight"(1977년 2월)과 "차이나 걸"(1977년 5월)이 발매되었으나, 두 싱글 모두 차트 진입에는 실패했다.[47]

앨범 홍보를 위해 이기 팝데이비드 보위(키보드), 리키 가디너(기타), 토니 폭스 세일즈(베이스), 헌트 세일즈(드럼) 등과 함께 밴드를 구성하여 1977년 3월 1일부터 4월 16일까지 투어를 진행했다. 오프닝 공연은 블론디가 맡았다.[11][12] 이 투어는 팝에게 더 스투지스 시절보다 더 큰 인지도와 성공을 가져다주었다.

발매 당시 평론가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다소 혼란스럽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기의 전기 작가 폴 트린카는 "사랑받기보다는 존경받는 앨범"으로 남았으며, 발매 당시 부정적인 평가는 거의 없었다고 언급했다.[37] 일각에서는 이 앨범이 이기 팝의 독자적인 작품이라기보다는, 데이비드 보위가 자신의 베를린 삼부작 아이디어를 실험하기 위해 팝을 이용한 결과물이라는 평가도 있었다.[39][46] 보위 자신도 팝이 자신의 사운드 실험 대상, 즉 "기니피그"였다고 인정한 바 있다.[58] 또한 녹음에 참여한 로랑 티보는 보위가 ''Low'' 앨범이 ''The Idiot''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The Idiot''의 발매를 늦췄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2] 그러나 2016년 이기 팝의 앨범 ''Post Pop Depression''이 본작과 ''Lust for Life''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고[59], 팝 자신도 "당시 보위와 함께 구상했던 아이디어를 재활용한 것"이라고 인정하면서[60], ''The Idiot''이 공동 작업의 결과물임이 재확인되었다.

전문 평론가들은 대체로 높은 점수를 주었다. 올뮤직은 만점인 별 5개를 부여했고[44],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A− 등급을 매겼다.[53] Q 매거진 역시 별 5개 만점을 주었으며[55],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는 별 4개를 부여했다.[56]

이 앨범은 포스트펑크, 인더스트리얼, 고딕 록 장르의 여러 아티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 수지 앤 더 밴시즈의 수지 수는 이 앨범을 "천재적이며, 훌륭한 목소리"라고 극찬했다.[46] 데페쉬 모드, 나인 인치 네일스, 조이 디비전, 킬링 조크 등이 영향을 받은 뮤지션으로 언급된다.[64] 나인 인치 네일스는 "Nightclubbing"의 드럼 사운드를 그들의 히트곡 "Closer"에 샘플링했으며, 오아시스("Force of Nature")와 스니커 핌프스("Small Town Witch") 역시 이 드럼 사운드를 차용했다. 조이 디비전의 보컬 이언 커티스가 1980년 사망 당시 턴테이블에 이 앨범을 올려놓고 있었다는 사실은 앨범의 어두운 영향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40] 또한 그레이스 존스는 1981년 "Nightclubbing"을 커버하여 동명의 앨범 타이틀 곡으로 삼았다. 데이비드 보위 역시 수록곡 "Sister Midnight"를 가사를 바꿔 "Red Money"(Lodger 앨범 수록)로 발표했고, "차이나 걸"은 1983년 그의 히트 앨범 ''Let's Dance''에서 재녹음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7. 곡 목록

전체 수록곡은 이기 팝데이비드 보위가 공동으로 만들었으며, 'Sister Midnight'는 카를로스 알로마르( Carlos Alomar|카를로스 알로마르영어 )도 참여했다.

'''A면'''
#곡명길이
1Sister Midnight4:19
2Nightclubbing4:14
3Funtime2:54
4Baby3:24
5China Girl5:08



'''B면'''
#곡명길이
1Dum Dum Boys7:12
2Tiny Girls2:59
3Mass Production8:24


7. 1. Side A

카를로스 알로마르(Carlos Alomar영어)가 공동으로 참여한 ‘Sister Midnight’를 제외하고 모든 트랙은 이기 팝데이비드 보위가 만들었다. 기본적으로 이기 팝이 작사하고 데이비드 보위가 작곡하였으나, ‘Sister Midnight’는 데이비드 보위가 작사했다.

# "시스터 미드나이트" (Sister Midnight) – 4:19

# "나이트클러빙" (Nightclubbing) – 4:14

# "펀 타임" (Funtime) – 2:54

# "베이비" (Baby) – 3:24

# "차이나 걸" (China Girl) – 5:08

7. 2. Side B

# ‘Dum Dum Boys’ – 7:12

# ‘Tiny Girls’ – 2:59

# ‘Mass Production’ – 8:24

1997년 이기 팝은 "Dum Dum Boys"의 탄생 배경을 설명했다. 그가 피아노로 곡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을 때, 데이비드 보위는 "그걸로 노래를 만들 수 없을까? 스투지스의 이야기를 해보는 게 어때?"라고 제안하며 곡의 콘셉트와 제목을 주었다고 한다. 원래 제목은 "Dum Dum Days"였다. 이 곡은 팝의 이전 밴드 스투지스의 동료였던 지크 제트너, 데이브 알렉산더, 스콧 애쉬턴, 그리고 제임스 윌리엄슨에게 바치는 찬사이자 애가로, 곡의 도입부에서는 이들의 이름이 언급된다. 음악 평론가 올리어리는 이 곡을 팝 버전의 "지기 스타더스트"로 평가하기도 했다. 음악적으로는 스투지스의 앨범 ''펀 하우스''(1970)와 비교되기도 한다. 원래 보위가 모든 기타 파트를 직접 연주했으나, 스스로 연주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느껴 기타리스트 필 팔머에게 일부 파트를 다시 녹음하도록 했다. 이 곡은 이기 팝이 작곡했다.

"Tiny Girls"는 앨범에서 가장 긴 두 곡인 "Dum Dum Boys"와 "Mass Production" 사이에 위치하며, 1950년대 두왑 음악을 연상시키는 곡이다. 가사에서 팝은 "과거"도 "요령"도 없는 "작은 소녀"를 얻고 싶다는 소망을 노래한다. 평론가 페그와 시브룩은 이 곡에서 들을 수 있는 보위의 색소폰 연주를 그의 최고 연주 중 하나로 꼽는다. 이 곡은 이기 팝이 작사하고 데이비드 보위가 작곡했다.

마지막 트랙 "Mass Production"은 8분이 넘는 길이의 서사적인 곡이다. 음악적으로는 초기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니카 장르로 분류되며, 거칠고 기계적인 사운드가 특징이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 곡을 스투지스의 "Dirt"나 보위의 "스테이션 투 스테이션"과 비교하기도 한다. 곡은 엔지니어 로랑 티보가 테이프 루프를 이용해 만든 약 1분 길이의 "원시적인 인더스트리얼 노이즈"로 시작된다. 보위는 팝에게 "대량 생산"에 대한 노래를 써보라고 제안했는데, 팝은 이전에 보위에게 자신이 자란 곳의 쇠락해가는 미국 산업 문화의 아름다움을 얼마나 숭배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고 회상했다. 이 곡 역시 이기 팝이 작사하고 데이비드 보위가 작곡했다.

8. 참여진

참가 멤버에 관한 정보는 발매 당시 명확한 크레딧 표기가 없어 수년간 부정확한 정보가 많았으나, 휴고 윌켄, 폴 트린카, 니콜라스 페그 등 후대 연구가들의 저작과 토머스 제롬 시브룩의 저서 “Bowie in Berlin: A New Career in a New Town” 등을 통해 상세한 내용이 밝혀졌다.[42][37][40] 주요 참여진은 다음과 같다.

이름역할
이기 팝보컬
데이비드 보위프로듀서, 편곡, 키보드, 신시사이저, 기타, 피아노, 색소폰, 실로폰, 백 보컬
카를로스 알로마기타
필 파머기타
로랑 티보베이스 기타, 엔지니어
조지 머레이베이스 기타
미셸 상탄젤리드럼
데니스 데이비스드럼
토니 비스콘티믹싱



1976년 6월, 보위와 팝은 앨범 녹음을 위해 프랑스 퐁투아즈에 있는 샤토 데로빌에 도착했다. 보위는 스튜디오의 새 소유주이자 프랑스 밴드 마그마의 전 베이시스트였던 로랑 티보에게 베이스 연주와 엔지니어링을 맡겼고, 티보는 프랑스인 드러머 미셸 상탄젤리를 고용했다.[37] 보위는 키보드와 기타로 곡의 기초를 만들었고, 상탄젤리는 이틀간 최소한의 지시만 받고 드럼 파트를 녹음했다. 당시 그는 이것이 데모 녹음이라 생각했으며, 첫 번째 테이크가 최종 믹스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37] 하지만 보위는 이틀 만에 상탄젤리의 연주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그를 해고했고, 상탄젤리는 최종 앨범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후 보위는 직접 기타, 전기 피아노, 신시사이저, 색소폰 등을 연주하고 백 보컬을 녹음했다.

기본 트랙이 완성된 후, 티보가 보위의 별다른 지시 없이 베이스 파트를 추가했다. 1976년 7월에는 보위의 투어 밴드 멤버였던 베이시스트 조지 머레이와 드러머 데니스 데이비스가 합류하여 "Sister Midnight", "Mass Production" 등 몇몇 곡에 오버더빙 작업을 진행했다.[37] 앨범의 음악 대부분은 보위가 작곡했지만, 가사는 주로 이기 팝이 스튜디오에서 즉흥적으로 만들었다.[37] 팝은 보위가 만드는 음악에 맞춰 즉석에서 가사를 붙이는 방식을 선호했는데, 이는 보위에게 깊은 인상을 주어 이후 자신의 앨범 ''"Heroes"''(1977) 작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녹음은 1976년 8월, 독일 뮌헨에 위치한 뮤직랜드 스튜디오에서 계속되었다. 이 스튜디오는 전자 댄스 음악 프로듀서 조르지오 모로더가 소유한 곳이었다. 이곳에서 팝은 대부분의 보컬을 녹음했고, 기타리스트 필 파머가 추가적인 기타 오버더빙을 맡았다. 파머는 보위의 지시 없이 일부 기타 파트를 다시 녹음하기도 했다. 그는 당시 팝, 보위와의 협업이 자극적이었지만 불안했다고 회상하며 "뱀파이어적"이었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녹음이 완료된 후, 보위와 팝은 앨범 믹싱을 위해 베를린으로 이동하여 한사 스튜디오 1에서 작업을 진행했다(흔히 알려진 베를린 장벽 근처의 더 큰 스튜디오 2가 아니다). 보위는 자신의 다음 앨범 공동 프로듀싱이 예정되어 있던 토니 비스콘티에게 믹싱 작업을 요청하여, 그가 자신의 새로운 작업 방식에 익숙해지도록 했다.

9. 한국에서의 수용과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 '한국에서의 수용과 영향'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원본 소스는 주로 데이비드 보위, 그레이스 존스, 수지 앤 더 밴시즈 등 다른 아티스트들의 커버 및 샘플링 사례, 그리고 나인 인치 네일스, 조이 디비전 등 후대 뮤지션들에게 미친 국제적인 영향과 일본에서의 앨범 제목 변경 및 프로모션 활동에 대해 다루고 있다. 따라서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요청한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Iggy Pop's Trail of Destruction https://www.rollings[...] 2003-12-11
[2] 웹사이트 The Survival of Iggy Pop https://www.newyorke[...] 2019-08-26
[3] 뉴스 The world was not ready for Iggy and the Stooges https://www.theguard[...] 2010-03-11
[4] 간행물 Classic Albums: Iggy Pop – ''The Idiot'' http://www.clashmusi[...] 2012-03-16
[5] 웹사이트 ''Blah-Blah-Blah'' – Iggy Pop https://www.allmusic[...] AllMusic
[6] 간행물 The 30 Essential Punk Albums of 1977 https://books.google[...] 2007-10
[7] 웹사이트 Between 'Fun House' & 'Funtime': Iggy Pop in the Seventies https://tidal.com/ma[...] 2020-07-07
[8] 간행물 IG and Super IG — Iggy Pop: ''The Idiot'' (RCA); The Stooges: ''The Stooges/Fun House'' (Elektra) https://www.rocksbac[...] 1977-04-02
[9] 웹사이트 "Sister Midnight" – Iggy Pop http://www.allmusic.[...] AllMusic
[10] 간행물 Iggy Pop https://www.rocksbac[...] 1985
[11] 웹사이트 Blondie reveal what they learned from touring with David Bowie in the '70s https://ew.com/artic[...] 2016-01-12
[12] 웹사이트 What Debbie Harry Learned from David Bowie and Iggy Pop https://ultimateclas[...] 2020-03-09
[13] 간행물 Iggy Pop: Friar's, Aylesbury; Cherry Vanilla, Johnny Thunders & The Heartbreakers, Wayne Country, Siouxsie & The Banshees: The Roxy, London https://www.rocksbac[...] 1977-03-12
[14] 간행물 Iggy Pop: Iggy Said It, Iggy Had The Power, Iggy Had The Disease https://www.rocksbac[...] 1977-03-12
[15] 웹사이트 ''The Idiot'' – Iggy Pop http://www.allmusic.[...] AllMusic
[16] 뉴스 Pop On Pop: Iggy Rates His Own Music (And So Do We) https://www.chicagot[...] 1990-07-22
[17] 간행물 Iggy Pop: ''The Idiot''/''Lust For Life'' 1990-04-14
[18] 웹사이트 Iggy Pop: ''The Bowie Years'' https://pitchfork.co[...] 2020-06-06
[19] 간행물 The Berlin Stories 2020-Summer
[20] 간행물 Idiot uses his brain https://worldradiohi[...] 1977-03-12
[21] 간행물 The Idiot https://www.rollings[...] 1977-05-05
[22] 간행물 Iggy Pop: ''The Idiot'' (RCA Victor) https://www.rocksbac[...] 1977-05-12
[23] 간행물 Iggy Pop: ''The Idiot'' (RCA) https://www.rocksbac[...] 1977-06
[24] 간행물 Top Album Picks https://worldradiohi[...] 1977-03-26
[25] 간행물 Albums of the Year 1977-12-24
[26] 간행물 Iggy Pop: ''The Idiot'' https://www.rocksbac[...] 1977-04
[27] 웹사이트 The Pop Life https://www.nytimes.[...] 1977-03-11
[28] 간행물 From Russia with Love: Bowie's Iggy https://www.rocksbac[...] 1977-04
[29] 간행물 Iggy Pop: ''Lust For Life'' (RCA AFLI 2488) https://www.rocksbac[...] 1977-08-20
[30] CD liner notes Sound + Vision Rykodisc
[31] 웹사이트 'The Idiot': How Iggy Pop And David Bowie Invented Post-Punk https://www.udiscove[...] 2022-03-18
[32] 웹사이트 Killing Joke's Youth on His 13 Favourite Records http://thequietus.co[...] 2011-03-29
[33] 웹사이트 The 100 Best Albums of the 1970s https://pitchfork.co[...] 2004-06-23
[34]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Cassell 2018
[35] 웹사이트 Iggy Pop Box Set to Focus on First Two David Bowie-Produced LPs https://ultimateclas[...] 2020-04-10
[36] 웹사이트 "''The Idiot'' Chart History" https://www.billboar[...] 2021-08-24
[37] 서적 Iggy Pop: Open Up and Bleed https://archive.org/[...]
[38] 웹사이트 Song Originally by Iggy Pop https://secondhandso[...] SecondHandSongs 2020-04-26
[39] 서적 Strange Fascination - David Bowie: The Definitive Story
[40] 서적 The complete David Bowie
[41] 웹사이트 4月30日(月・祝)15時~イギー・ポップ特番オンエア!タイムフリーで1週間以内に聴き直しも可 [番組からのお知らせ] http://www.radionikk[...] ラジオNIKKEI 2018-04-30
[42] 서적 Low
[43] 서적 Bowie: An Illustrated Record
[44] 웹사이트 "''The Idiot'' - Iggy Pop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20-04-21
[45] 웹사이트 "Classic Albums: Iggy Pop - ''The Idiot'' | Features | Clash Music" http://www.clashmusi[...] 2012-03-16
[46] 서적 Gimme Danger: The Story of Iggy Pop
[47]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48] Youtube Iggy Pop - China Girl (Alternative Mix / Audio) https://www.youtube.[...]
[49] 웹사이트 1977 - ボウイ・イヤーズ 7CD ボックス・エディション https://www.universa[...] 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合同会社 2020-04-26
[50] 웹사이트 イディオット 2CDデラックス・エディション https://www.universa[...] 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合同会社 2020-04-26
[51] 간행물 Iggy Pop: The Idiot http://blender.com/g[...] 2004-09
[52] 뉴스 Pop On Pop: Iggy Rates His Own Music (and So Do We) http://articles.chic[...] 1990-07-22
[53]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70s https://archive.org/[...] Ticknor and Fields 2014-12-08
[54]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55] 간행물 Iggy Pop: The Idiot 2019-09
[56] 서적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57]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58] 문서 "Sound + Vision: CD liner notes" 1989
[59] 웹사이트 Iggy Pop, Josh Homme Team for New Album 'Post Pop Depression' https://www.rollings[...] 2016-01-21
[60] 비디오 アメリカン・ヴァルハラ http://americanvalha[...] 株式会社 ビー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8-04-14
[61] 웹사이트 Iggy Pop Chart History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18-07-22
[62] 웹사이트 Iggy Pop 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2018-07-22
[63] Youtube "Siouxsie / The Creatures Glastonbury" https://www.youtube.[...] 2019-11-02
[64] 웹사이트 "The Quietus | Features | Baker's Dozen | Killing Joke's Youth on His 13 Favourite Records" http://thequietus.co[...] 2011-03-29
[65] 웹사이트 Iggy Pop - The Idiot https://www.discogs.[...] Discogs 2020-04-26
[66] 웹사이트 天才デヴィッド・ボウイの素顔を知る男──鋤田正義が語るリアルなボウイ(前編) https://www.gqjapan.[...] GQ Japan 2016-02-12
[67] 웹사이트 Iggy Solo Concerts Wiki https://concerts.fan[...] FANDOM 2020-04-28
[68] 웹사이트 ポスト・ポップ・ディプレッション:ライヴ・アット・ザ・ロイヤル・アルバート・ホール https://www.universa[...] UNIVERSAL MUSIC JAPAN 2020-04-27
[69] 웹인용 Iggy Pop's Trail of Destruction https://www.rollings[...] 롤링 스톤 2003-12-11
[70] 웹인용 The Survival of Iggy Pop https://www.newyorke[...] 더 뉴요커 2019-08-26
[71] 뉴스 The world was not ready for Iggy and the Stooges https://www.theguard[...] 가디언 2010-03-11
[72] 웹인용 The Idiot https://www.official[...] 오피셜 차트 컴퍼니 2021-09-03
[73] 웹인용 "''The Idiot'' Chart History" https://www.billboar[...] 빌보드 2021-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